북랩, 권력과 이익만을 중시하는 경제 시스템을 비판한 ‘착취 경제’ 출간
개인은 물론 사회 전반에 만연한 착취 시스템의 모순을 통찰력 있게 조명하는 책이 출간됐다.
북랩은 자본주의라는 구조 속에서 생존 경쟁을 강요받는 현대인의 현실을 직시하고, 이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담은 ‘착취 경제’를 펴냈다.

저자는 자본주의가 인간을 자본의 도구로 전락시키고 있다고 지적한다. 경제 시스템의 원활한 순환을 명목으로 노동을 무차별적으로 착취하고 있으며, 이윤 극대화를 위한 탐욕적 구조가 그 근간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착취 경제 체제는 점점 더 일상화되고 있으며, 자본주의라는 이름 아래 진행되는 불평등은 결국 인간의 선한 희망마저도 앗아가는 구조적 폭력에 다름 아니라는 주장을 펼친다.
강자가 약자의 희생을 통해 이익을 얻는 구조가 굳어질수록 다양한 착취 수단은 더욱 기승을 부리게 되며, 이러한 흐름이 지속된다면 인류는 공동의 파국을 맞이할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제기한다.
사회는 인간을 하나로 연결하는 공동체인 만큼 이기심의 팽창은 반드시 경계돼야 한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다수의 인간은 자본에 종속된 채 삶을 이어가고 있으며, 자본 독점을 유지하려는 자와 그 구조를 깨려는 자 사이의 갈등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역사가 증명하듯 혁명은 기존 체제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사회 질서를 세우는 과정 속에서 이뤄진다. 저자는 인간은 혈통이나 배경이 아니라 존재 그 자체로 고귀하다고 강조하며, 개인 중심의 자유로운 자본 활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대 사회의 병폐를 정확히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올바른 시각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저자 이순환은 기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탐욕의 전선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부단히 마주해 왔다. 그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의 경제·권력 구조가 얼마나 심각한 착취 시스템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담아 선량한 논쟁을 제안하고, 앞으로도 행동을 통해 사회적 각성을 일으키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의 저서로는 ‘나만 믿고 따라와’, ‘나만 믿고 따라와 두 번째 이야기’, ‘나만 믿고 따라와 3’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