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공연/영화

한영숙선생의 춤 세계… 1972년 한영숙 승무의 원형재현과 보존을 위한 학술발표회 개최

방민찬 기자
입력
‘나의 승무 나의 춤’, 저자 이철진, 도서출판 온샘
‘나의 승무 나의 춤’, 저자 이철진, 도서출판 온샘

구슬주머니가 성균소극장 개관 2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한 행사를 개최한다. 1900년초 명무, 명고였던 한성준으로부터 승무계승을 인가받은 한영숙의 1972년 고제 승무 재현사업이 그것이다.

한영숙은 할아버지인 한성준으로부터 승무를 배워 1969년 최초의 국가무형유산 승무 보유자로 지정됐으며, 1972년 영상은 그의 전성기의 승무와 당악등이 고스란히 담긴 초기 승무를 확인할 수 있는 귀한 자료가 됐다.

2021년 한영숙의 대를 이은 승무보유자 이애주가 타계하면서 한영숙 승무의 원형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많은 춤꾼이 ‘전판’, ‘완판’이라는 이름으로 한영숙의 승무를 추고 있지만 이를 증명하고 인가해주기가 어려운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이러한 때에 1972년 한영숙이 최초로 남긴 승무 영상을 복원하면서 한영숙이 2세대에게 남긴 전수곡과 ‘지숫기’(궁굴리기)로 상징되는 한영숙 승무의 원형을 제시하고 전통춤 보존의 전형을 제시하게 된다.

또한 학술 발표를 통해 한영숙 승무의 역사적 중요성과 무용사에서의 위치를 다시금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에 Somatics(몸학)를 처음 소개한 김정명 교수(명지대 명예 교수,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석좌교수)의 기념사와 한영숙 승무 3세대인 이철진의 1972년 영상 재현공연으로 막이 오른다. 

1972년 한영숙 고제 승무의 원형재현과 보존을 위한 학술발표 대회
1972년 한영숙 고제 승무의 원형재현과 보존을 위한 학술발표 대회

이후 무용 이론가 김기화 박사의 주제발표 ‘1972년 한영숙 고제 승무의 복원과 그 의미’와 이철진의 승무재현의 과정을 담은 ‘1972년 한영숙 승무 재현과정’ 발표가 이어진다.

종합토론에는 이지현(이학박사, 무용비평가), 최선일(문학박사,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소장) 박사의 1972년 영상의 무용사와 기록사적 토론이 펼쳐지게 된다.

성균소극장 개관 20주년 기념으로 펼쳐지는 이 학술대회는 구슬주머니가 주최하고 한국춤예술센터가 주관하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소극장협회의 후원으로 진행된다. 행사 후에는 이철진의 자전적 에세이 ‘나의 승무 나의 춤’ 북콘서트도 진행될 예정이다.[사진=구슬주머니 제공]

방민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