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Icon
한국어(KO)
미국(EN)
일본(JP)
중국(CN)
logo
logo
[신간] ‘김지하를 다시 본다’ 출간
사회·문화
문화

[신간] ‘김지하를 다시 본다’ 출간

박지훈 기자
입력
339b1acec00f1c5f249a877556a128f2
김지하를 다시 본다 / 엮은이 : 염무웅 이부영 유홍준 임진택 / 기획·제작 : 이애주문화재단, 한국작가회의 50주년 기념사업단 / 펴낸곳 : 개마서원 / 펴낸날 : 2024년 11월 18일 

박지훈 기자 = 김지하시인추모문화제추진위원회가 ‘김지하를 다시 본다’를 펴냈다.

‘김지하를 다시 본다’는 2023년 5월 6일~7일 김지하 추모 1주기에 열린 ‘김지하 추모 학술 심포지엄’ 토론 자료를 정리하고 다시 꼭 읽어야 할 김지하의 글을 모아 만든 1056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책이다.

1부에는 염무웅, 이부영, 유홍준, 임진택, 임동확, 김사인, 홍용희, 정지창, 채희완, 심광현 등 30여 명이 ‘김지하의 문학·예술과 생명사상’이라는 큰 주제 아래 ‘김지하의 문학과 예술, 미학’, ‘김지하의 그림과 글씨’, ‘민주화운동과 김지하’, ‘김지하의 생명사상과 생명운동’으로 나누어 주제 발표와 토론을 한 후 정리한 내용과 종합토론을 한 내용을 정리해 놓았다.

2부에는 ‘김지하가 남긴 글과 생각-생명의 길·개벽의 꿈’이라는 제목으로 김지하가 남긴 수많은 글 중에서 꼭 다시 읽어봐야 할 글을 골라 실었다.

암울한 시대에 수많은 젊은이를 위로하고 힘주었던 글 ‘양심선언’, ‘나는 무죄이다’, 로터스상 수상 연설인 ‘창조적 통일을 위하여’, 환경오염과 기후 위기 등 현시대의 문제점들을 수십 년 앞서서 말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한 ‘생명의 세계관 확립과 협동적 생존의 확장’, ‘개벽과 생명운동’, 김지하가 자신의 문학에 대해 쓴 ‘깊이 잠든 이끼의 샘’, 김지하가 남긴 생명사상을 살필 수 있는 ‘생명평화선언’, ‘화엄개벽의 모심’ 등 진지하게 김지하를 다시 보고 다시 만나기를 바라는 간곡한 마음으로 원고를 모았다.

김지하 시인은 50년 전 민청학련 사건으로 사형선고를 받았고(이는 1974년 11월 18일 한국작가회의 전신인 자유실천문인협의회가 결성된 직접적인 계기가 됨), 동아일보 기자들의 자유언론수호 투쟁 속에 연재된 글 ‘고행... 1974’가 문제가 돼 다시 감옥에 갇혀야 했던 민주화 투쟁의 상징적 인물이었다.

2022년 김지하 시인이 세상을 떠났을 때 그는 이미 사람들에게 많이 잊혀져 있었고, 그를 아는 사람 중에도 그의 ‘훼절’에 대한 불쾌한 감정으로 그 이름을 기억에서 떨쳐내려고 하는 사람들도 없지 않았다.

cc2bcbdca7551bda4d357fdfda6d34b1
 ‘김지하를 다시 본다’ 양장본 속표지

하지만 그는 1970년대 이후 탁월한 문학적·예술적·미학적 성취를 이루었고, 백척간두의 정치투쟁에 치열하게 임했다.

또한 누구보다도 앞서 생명운동을 주창한 생명사상가였다. 이런 김지하는 결코 폄훼돼서도 안 되고 잊혀서도 안 될 인물이라는 생각에 시인과 가까이 지내던 동료와 후배들이 뜻을 모아 이 책 ‘김지하를 다시 본다’를 출판하게 됐다.

김지하 시인은 이미 40여 년 전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제반 상황들, 즉 생명 경시와 환경 파괴, 기후 위기와 전염병의 창궐, 핵전쟁 위기를 예견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시인은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때에 생명사상이란 화두를 높이 든 생명사상가이자 생명운동가였다.

이런 김지하가 누구였는지 세상에 다시 간곡히 알려서, 세상 사람들로 하여금 시인의 생명 세계관에 입각한 문명 전환의 길에 나서게 하는 데에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사진=김지하시인추모문화제추진위원회 제공]

박지훈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